저자
김애란, 구소현, 오선영, 서이제, 김혜지, 임현석, 김보영, 전혜진
발행
창비교육
발행일
2023-06-23
책소개
미디어를 테마로 한 단편 8편을 엮은 소설집. 책에는 미디어의 본질부터 미디어를 통한 소통, 미디어 리터러시까지, 김애란, 구소현, 오선영, 서이제, 김혜지, 임현석, 김보영, 전혜진 작가가 그려 낸 미디어 이야기가 담겨 있다. 책은, 지금도 어디에선가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을, 자신의 이야기를 공유하는 게 더 이상 낯설지만은 않은 청소년과 2030 독자들에게 미디어를 향한 새로운 시선과 깊이 있는 공감을 선사한다. 더불어, 미디어를 소셜 미디어와 매스 미디어 등에 국한해 생각해 왔던 독자들이, ‘말’, ‘글’ 그리고 ‘책’이라는 원시적 미디어의 존재도 다시금 떠올리며 “미디어란 무엇인가?”라는 본질적인 물음까지 던질 수 있게 돕는다.
관련 이미지
주요사항
목차
- 머리말 • ‘미디어’ 없는 삶, 상상해 본 적 있나요?
- 김애란 • 침묵의 미래
- 구소현 • 시트론 호러
- 오선영 • 후원명세서
- 서이제 • 위시리스트 ♥
- 김혜지 • 지아튜브
- 임현석 • 무료나눔 대화법
- 김보영 • 고요한 시대
- 전혜진 • 바이센테니얼 비블리오필
- 엮은이의 말 • 조금은 특별한 소통을 꿈꾸는 당신에게
수록작 소개
바이센테니얼 비블리오필
전혜진의 「바이센테니얼 비블리오필」은 “인공 지능의 보좌에 거의 모든 것을 맡긴 채 살아가는 사람들”(205쪽)로 가득한 미래, 2194년을 배경으로 한다. 23세기를 앞둔 시대에는 더 이상 “읽지 않고, 쓰지 않고, 생각하지 않고, 매사에 이미 남들이 반응하는 대로만 반응하며 그저 검색할 뿐인 사람들”(205쪽) 뿐이다. 전문 사서 ‘윤현’은 어느 날, 앎을 향한 집착으로 의체에만 의존해 생명을 200년 이상 연장해 온 ‘황재윤’을 만난다. “인간의 수명이 80세라면, 나는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은 책을 읽을 수 있을까”(230쪽)라고 물으며, 눈으로 행간을 읽어 내는 독서법을 고집하는 황재윤은 그 모습이 너무나 기괴하여 윤현에게 공포감을 준다. 그러나 “책들의 세계를 쌓아 올리고 가꾸어 나가는 수많은, 지적이고 총명하며 위대한 생각들을 만나고, 함께 일하고, 대화를 나눌 수 있”(216쪽)는 자신의 직업에 자부심을 느껴 왔던 윤현은 황재윤의 모습에서 잠시 자신의 모습을 보게 된다. ‘책’을 읽지 않는 사람들이 더 많은 세상에서 ‘책’으로부터 앎과 배움을 얻으려는 윤현과 황재윤은 닮은 부분이 많아 보인다. 의체에 의존해 있기에 더 이상 인간의 형상과는 거리가 먼 황재윤일지라도 ‘책’으로 더 넓고 다양한 세상과 접촉하려는 시도를 멈추지 않는 태도 만큼은 미디어를 통해 계속해서 연결되고자 하는 우리에게도 어딘가 낯익은 모습처럼 보인다.
추천사 ∙ 관련기사
관련소식
-
앤솔러지 “연결하는 소설”에 “바이센테니얼 비블리오필”이 수록되었습니다
지난 1월쯤에 “바이센테니얼 비블리오필”의 수록허가 메일이 왔었는데, 이 책이 드디어 나왔습니다. 김애란, 구소현, 오선영, 서이제, 김혜지, 임현석, 김보영 작가님의 쟁쟁한 단편들과 함께 “바이센테니얼 비블리오필”이 수록된 이 책은, 청소년과 젊은 독자층을 향해 미디어란 무엇인가, 블로그나 유튜브, 방송을 통해 자신을 내보이는 것은 무엇인가, 소통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책입니다. 언제 나오는 걸까 궁금했는데, 깜빡 잊을만하자 나왔네요. 표지는…
-
낙원의 이론 – 정선우, 파란미디어
공기중의 “온”으로 오염된 세계, 온을 정화할 수 있는 용이 인간들에게 살해당해 도시연합의 여덟 도시와 그를 연결하는 철도를 이루고, 용의 비늘은 중요한 자원이기도 한 동조자들의 시체를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시대에, 도시연합군의 전리품이자 동조율 100%인 동조자로, 시민권 없이 무기 취급받던 소녀 유은우는 군에서 쫓겨나 도시연합 중앙학교에 입학한다. 이곳에서 하루하루 무사히 살아남기에도 벅찬 유은우는 완벽한 학생이자 생환률 100%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