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정만화에서 SF의 계보를 찾다

순정만화에서 SF의 계보를 찾다

순정만화에서 SF의 계보를 찾다
순정만화에서 SF의 계보를 찾다

발행 : 구픽
출간일 : 2020. 6. 22.

SF 작가이며 순정만화 스토리 작가이기도 한 저자 전혜진이 30여 년에 걸친 한국 순정만화에 대한 애정과 경험을 듬뿍 담아 써낸 한국 대표 순정 SF 만화의 기록. 1980년대 이후부터 한국 순정만화에서 꾸준히 나왔던 SF의 자취들을 소급한 이 책은, 독특한 소재, 섬세한 표현력, 시대상의 반영, 장르에 대한 이해 등 상업성과 작품성 면에서 모두 뛰어난 성취를 이루었으나 ‘여자들이나 보는 만화’로 이야기되며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 한국 순정 SF 만화에 대한 울분이며 깊은 사랑이 농축된 만화 리뷰이자 에세이다.

장편 순정 SF 만화 시장의 물꼬를 튼 강경옥의 1987년작 <별빛속에>부터 시작하여 김진의 <푸른 포에닉스>와 신일숙의 <1999년생>, 김혜린의 <아라크노아>, 황미나의 <레드문> 등 거장들의 전설적인 작품들에서 시작하여, 양여진의 <세인트 마리>, 서문다미의 를 거쳐 뻥의 <그리고 인간이 되었다>, 네온비와 피토의 <세기의 악녀>, 천계영의 <좋아하면 울리는>까지 출판물부터 웹툰에 이르는 30여 편의 한국 대표 순정 SF 만화들을 모았다.

목차

    • 들어가며: 나의 오랜 억울함에 대하여
    • 1부 우주를 무대로 인간을 생각한다
      • 두 거장이 만들어 낸 커다란 흐름_강경옥의 『별빛속에』, 황미나의 『레드문』
      • 절대적인 표준이라는 견고한 맹점의 벽을 뚫고_김진의 『푸른 포에닉스』
      • 지극한 과학으로 만들어 낸, 친한 길들이 서로 만나는 곳_권교정의 『제멋대로 함선 디오티마』
    • 2부 Feminism & Fight
      • ‘낯설게 하기’로 다시 돌아보는 위험한 로맨스와 그에 대한 극복_신일숙의 『1999년생』
      • 욕망에 충실한 미소녀들의 싸움_민송아의 《나노리스트》, 『좀비가 있어도 여고생은 잘 살고 있어요♥』
      • 지금도 현재 진행형인 잔혹한 세계의 거울상_이미라의 『남성 해방 대작전』
      • 알파 걸들의 경쟁 속에 드러나는 혐오와 숭배의 이중성_차경희의 『걸스 온 탑』
      • 여성의 현실과 작가의 현실, 두 방향의 도전_수신지의 《곤 GONE》
    • 3부 만들어 낸 인간의 권리를 묻는다
      • 이 아이들은 인간이다. 만들었다고 부술 권리를 누가 주었느냐_김혜린의 『아라크노아』
      • 아버지, 국가, 창조자가 아닌, 자신이 발견한 진정한 자신_강경옥의 『노말 시티』
      • 그 모든 것을 용서하기까지_뻥의 《그리고 인간이 되었다》
    • 4부 종말과 시작, SF 속 종교의 이미지
      • 낙원 같은 학원에서 인간의 죄를 묻는 종교 SF_양여진의 『세인트 마리』
      • 스타일리시한 액션 속에서 인간의 오만을 묻는다_서문다미의 『END』
      • 종말과 구원, 시간과 공간을 아우르며 이어지는 작가의 세계관_임주연의 『천년도 당신 눈에는』
      • 익숙한 창세 신화 속, 가부장제의 폭력성을 고발한다_신일숙의 『나의 이브』
    • 5부 주먹을 쥐고 투쟁을 외치며
      • 재활용품의 무게만큼 식량을 얻는 세계_이보배의 『이블자블 대소동』
      • 온정적인 ‘왕’과 그의 ‘에스더’의 모험일까_김우현의 『밀레니엄』
      • 다음 세대에게는 더 나은 세상을 주고 싶어서_전혜진, 김락현의 『리베르떼』
    • 6부 대체 역사와 시간 여행자들
      • 순정 SF 대체 역사물의 새로운 고전_박소희의 『궁』
      • 시간 여행과 뒤바꾼 역사_원혜정의 『오늘은 조선 한양에서』
      • 유능한 여성은 누구의 몸에 들어가도 성공을 노린다_허윤미의 『당신만의 앨리스』
      • 반복되는 사랑, 반복되는 세계_신일숙의 『나무 박사를 찾아서』
    • 7부 순정만화 속 미래의 풍경들
      • 날아다니는 경찰차가 전부가 아닌 미래_강경옥의 『라비헴 폴리스』
      • 소녀에게는 사랑을, 여성에게는 커리어를_원수연의 『휴머노이드 이오』
      • 주인공과 작가, 함께 한 걸음 더 앞으로_네온비와 피토의 《세기의 악녀》
      • 세계와 맞서고 생의 중심을 자신에게 두는 것_유시진의 《꽃밭에서》
      • 기술이 바꾸어 낸 사랑의 방식_천계영의 《좋아하면 울리는》
    • 붙임1. 순정만화 속 BL(Boys Love), BL 속 SF
    • 붙임2. 어디에서 이 작품들을 읽을 수 있을까?
    • 작가의 말
    • 참고문헌

책읽아웃 : 149-2 [김하나의 측면돌파] 예상 못 한 위로, 순정 SF, 독서로 하는 명상

Translat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