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목록은 월하의 동사무소 1~6권을 쓰면서 참고했던 도서와 논문 목록입니다. 전에 승류님 글 http://tmdfb.egloos.com/2299817 보고 언제 정리해야겠다 하고 막연하게 생각하던 것을, 5권 나오고 정말로 한번 포스팅해야겠구나 하고 마음을 굳히게 되었죠. 뭐, 귀신 이야기 쓰고 바로 다음 것도 귀신 이야기 쓸 것도 아니고, 귀신들이 나오는 것은 혹시 쓰더라도 또 한참은 더 세월이 지나야 할 테니까.
정리가 대충 되어 있는 것은, 출판사까지 적은 것도 있고 저자 정도만 체크해둔 것도 있고 정도의 차이.
월하동에 참고문헌으로 붙은 것은 그 중에서도 실제 내용을 참고한 것들입니다. 사실 그 외에도 이런저런 책들을 더 읽어야 옥석을 가려낼 수 있는 부분도 있고, 이론적으로는 크게 도움이 되지만 실제 쓸 때에는 고려는 하되 인용하거나 하는 일은 없는 부분도 있어서, 읽은 책 전부를 책에 참고문헌으로 올리지는 못했습니다.
제가 본 책이라고 해도 범위가 어느정도 뻔하기는 합니다만 그럼에도 이렇게 정리해 두는 까닭은, 향후 한국 귀신 등이 등장하는 라이트노벨이나 만화에, 제발 좀 이상한 것들(중국이나 일본 귀신들)이 한국 귀신인 척 하고 나오는 한심한 꼴은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입니다. 자료를 찾을 시간이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그러는 경우도 있을 테니까 ^^ 그럴 때는 아래 책들 중에서 도움이 되는 것이 있으면 좋겠습니다.
아참, 수학책은 따로 안 적었습니다. 그건 알아서 찾아보세요. -_-+
참고도서
- 조선의 귀신, 무라야마 지준, 동문선
- 비교연구를 통한 한국민속과 동아시아, 최인학, 민속원
- 큰굿 열두거리의 구조적 원형과 신화, 이수자, 집문당
- 한국에서 본 일본의 민속문화, 임동권, 민속원
- 대전. 충남 무속연구, 대전대학교 출판부
- 무속 이야기, 손숙희, 국학자료원
- 우리 고대사회의 무속사상과 가요, 허영순, 세종출판사
- 인간과 신령을 잇는 상징 – 무구, 국립문화재연구소
- 제주도 무속과 서사무가, 장주근
- 조선무속고, 이능화, 동문선
- 한국 전통문화의 정신분석 : 신화, 무속, 종교체험, 김광일, 시인사
- 한국의 가정신앙, 김명자, 민속원
- 한국의 무속, 김태곤, 대원사
- 한국의 무속문화, 김열규, 박이정
- 한국의 무속장단, 임수정, 민속원
- 저기 도깨비가 간다(김종대, 2002, 다른세상)
- 신의 기원(하진, 홍희, 1990, 동문선)
- 다시 쓴 우리말 어원 이야기(조항범, 1997, 한국문원)
- 서울의 무가I, II(최형근, 2005, 민속원)
- 귀신이여 이제 대로를 활보하라(한재규, 2004, 북캠프)
- 한국의 샤머니즘(조흥윤, 2004, 서울대학교 출판부)
- 다시 쓴 우리말 어원이야기, 조항범, 한국문원, 1997
- 부모은중경 : 목련경, 우란분경, 심지관경. 법회연구회, 정우서적, 2005
- 정통 검도교본, 이종림 저, 삼호미디어
- 대동운부군옥, 권문해 저, 윤호진 역. 지만지고전천줄 224권
- 동의보감(한글판), 허준, 근영출판사, 2002
- 나비소녀의 사랑 이야기, 서정범
- 삼국유사(1), 일연, 이재호 역. 솔출판사 나랏말씀문고(1)
- 한국의 학교괴담 : 한국의 학교괴담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 김종대, 다른세상
- 한의 구조 연구, 천이두, 문학과 지성사
- 비단꽃 넘세, 김금화, 생각의 나무
- 그로테스크로 읽는 일본 문화, 김종덕, 책세상
참고논문은 가까운 대학 도서관에 가시면, dbpia 같은 곳과 제휴를 하고 있는 곳이 많습니다. 대학생 동생 등등을 이용하시면 편하죠. 저는 본업이 공무원…… 국립대학 교직원이라…… ^^;;; (그래서 참고서적도 직접 구입한 것도 꽤 되지만 자주 보지 않는 것은 대학 도서관이나 집 근처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습니다)
논문의 경우는 꽤 많이 읽었는데, 제목만 보고 일단 dbpia 등에서 받았다가 필요한 것과 아닌 것을 따로 가려냈죠. 꼭 필요한 것은 구글링을 했다가 유료인 것은 따로 돈 내고 받은 것도 있고…… 일단 여기서는 월하동에 직접 참고한 것들만 올려놓았습니다. (그렇다고는 해도 민속학 중에서도 무속이나 귀신 관련된 논문이 그렇게 많지 않다는 것에 또 한번 쇼크. 그래도 뭐, 시시한 라이트노벨 몇 권 쓸 만큼은 찾았으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요. 뭔가 좋은 것을 쓰려면 공부를 얼마나 해야 하는 것일까 하고 설덕후 기질 농후한 뉴비 작가는 늅늅하고 울어야 했습니다……)
참고논문
- 복술가 윤석중의 삶과 무경의 성격, 이기형, 2005
- 한국 전통 몬스터 디지털 복원사례 연구, 한광식, 2004
- 처용랑망해사 조와 처용설화의 연구, 1988년, 박기호(한양대학교 한양어문연구회)
- 한일 현대담의 비교 연구, 김화경(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 이물교혼담에 나타난 여자요괴의 양상과 문화콘텐츠로의 변용 – 구미호이야기를 중심으로 , 이명현, 2007.02(우리문학연구 제 21집)
- 구미호 전설과 포송령의 요재지이에 나타난 의식의 원형(문화평론가 김휘영)
- 임석재 전집 5 한국구전설화(경기도편)<불가사리>
- 왜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했나 (오종록, 내일을 여는 역사 2007년 봄호)
- 특집: 한국 중세의 수도와 천도; 조선 초엽 한양 정도 과정과 수도 방위(오종록, 한국사연구, 2004)
- 도선의 생애와 라말여초의 풍수지리설-선종과 풍수지리설의 관계를 중심으로 하여(최병헌, 한국사연구, 1975)
- 한국 전통도시숲의 풍수적 의미와 역할에 관한 연구, 장동수, 2003
- 역사와 역사소설, 그리고 사극 – 권덕영
- 무속에 대한 한국 근대사회의 부정적 시각에 대한 고찰 – 이용범
도움이 되셨다면 월하의 동사무소 1~5권도 한번 읽어주세요. 🙂
![]() |
월하의 동사무소 5 – ![]() 전혜진 지음, 이영유 그림/대원씨아이(만화) |
댓글
“월하의 동사무소 참고 도서/논문 목록”에 대한 4개의 응답
이런말씀 갑자기 드려서 죄송합니다만.
사랑합니다♡
오오, 착한일을 했더니 연하남이!!!! (탕)
이제 짐승류의 마수는 남자 여자 안 가리는 건가.
갑자기 이런 말 드리면 당황하실텐데…
1권 샀습니다. 팬이예염. 굽신굽신.